상상력을 현실에서 만져본다. 세계 최고의 소재 도서관 [ Material Connexion ] 세상엔 얼마나 많은 소재가 존재할까요? 우리는 얼마나 많은 소재들을 알고 있을까요? 플라스틱이랑 쇠, 유리가 전부는 아닐 것입니다. 새로운 소재들을 발견하고, 기존의 것들을 조합하는 신소재에 대한 연구는 끝없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 연구들을 바탕으로 여러 소재들은 기술, 디자인, 공간, 서비스 등 산업 전반에 융합되어 이미 실생활에 스며들고 있습니다. 우리는 디자이너, 엔지니어, 상상력으로 미래를 그리는 사람으로서 그것들의 근간이 되는 '신소재'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요? Stone Island Prototype Research Series 01 _ Lasering on Liquid Reflective ..
온라인 쇼핑이 등장한 이후 소매업계는 큰 혼란을 겪고 있습니다. 온라인 쇼핑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상품을 판매하는데 따르는 문제와 오프라인 상점을 유지하는 데 드는 높은 비용 문제의 해결책은 아마도 상점이 소비자에게 찾아가는 '이동식 매장'일 것입니다. 부동산 업계의 변화많은 스타트업들은 공유와 협업 경제에 점점 더 관여하고 있습니다. 즉, 끊임없이 변화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수용하고 높은 임대료를 절감하기 위해 공동 작업 공간이나 단기 임대를 선택합니다. 또한 원격 프리랜서 노동자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회사는 넓은 사무공간이 점점 더 필요없게 됩니다. 특히 소매업의 경우에는, 온라인 쇼핑이 부상하면서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현재 국내 온라인 쇼핑 규모는 약 50조원으로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
인간과 컴퓨터를 구분하기 위해 튜링이 제안한 튜링 테스트. 예술작품을 위한 튜링 테스트가 존재한다면, 인공지능은 그 튜링 테스트를 통과할 수 있을까요? 최근 러트거스 대학교의 예술&인공지능 연구소 소속 Ahmed Elgammal 연구팀은 인공지능으로 만든 창의적인 예술작품들이 몇몇 현대 미술작품을 넘어섰다는 결과를 논문으로 발표했습니다. 인공지능이 만든 작품이 예술로 인정받을 수 있을까요?(튜링 테스트 사진) 튜링 테스트는 기계가 인간과 얼마나 비슷한 수준으로 대화할 수 있는지를 통해 기계의 지능 여부를 판별하는 테스트입니다. 앨런 튜링이 만든 이 테스트는 인공지능의 ‘인간다움’에 대한 첫 기준을 제시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튜링은 인간이 보기에 사람과 같은 수준으로 대화하는 인공지능을 인간에 준하는 지능..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취업시장을 살펴보고 인구구조를 비교하면서 가까운 미래에 대한 짧은 이야기를 해 보려고 합니다. 지금까지 에티는 주로 창업 관련 소식들을 전해왔는데요, 벤처 생태계와 많은 관련이 있는 취업시장, 더 나아가 인구구조에 대한 이야기는 저희가 전해오던 글과 큰 틀에서 연결되는 점이 많습니다.취준생이 슈퍼 갑올해 4월 일본의 유효구인배율(일정 기간 내 구직자 수에 대한 일자리 수)이 1.48을 넘겼고 직전 해인 2016년에는 1.39에 달했습니다. 즉 일자리는 148개인데 일할 사람은 100명 뿐이라는 말입니다. 취업난으로 시름하는 한국에서 보면 1배를 넘는 유효구인배율은 부러움 그 자체입니다. 취준생은 '슈퍼 갑'. 우리나라와는 너무나 다른 모습입니다. 적게는 열 개 남..
현재의 가상현실 기술, 오락과 화려한 3D 그래픽 컨텐츠를 즐기기에는 충분해 보이지만 완전한 가상현실이라고 부르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많습니다. 필자의 개인적 의견으로는 ‘가상현실’이라는 용어 자체가 가상현실 업계 사람들의 과장 광고라고 생각하는데요, 영화 Matrix처럼 온전한 가상현실 시스템에 비해 현재의 가상현실 기술이 부족한 부분이 무엇일까요? 영화 Matrix처럼 온전한 가상현실 시스템에 비해 현재의 가상현실 기술이 부족한 부분이 무엇일까? 크게 두가지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첫째로 아직까지 우리는 신체의 모든 감각을 가상현실의 것으로 체험하는게 불가능합니다. 기껏해야 시각, 청각 정도만 가상의 것으로 대체할 수 있죠. 둘째로 우리는 아직까지 가상현실의 경험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만 가능..
요즘 출시된 대부분의 가상현실(VR) 헤드셋들이 가상현실 그래픽 환경 자체로는 크게 손색이 없지만, 현실 세계와의 상호작용의 측면에서는 아직까지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가장 핵심이 되는 기술이라고 볼 수 있는 주변 환경 인지 및 헤드셋의 위치 트래킹은 아직까지도 제대로 작동하는 기기가 거의 없는 상황입니다. 대표적으로 이 기술은 가상현실 헤드셋을 썼을 때 안전을 위해 실제 세계의 장애물과의 충돌 경고를 해주기 위해서 필수적입니다. 이 뿐만 아니라 가상현실 영역을 넘어 증강현실의 영역까지 가면 주변의 정확한 3D 환경 인지 없이 세밀한 증강현실 기능을 구현하기란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현존하는 플랫폼 중에 이 기술을 가장 안정적으로 구현한 플랫폼은 HTC의 SteamVR 플랫폼입니다. 하지..
5월 Unity는 실리콘 밸리의 거대 사모펀드 Silver Lake로부터 4억 달러를 새로 투자받았습니다. 많은 회사가 이 투자 라운드에 눈독을 들였던 와중에 그만큼 CEO John Riccitiello는 더 여유로운 태도를 보였습니다. 이번 투자는 절대 ‘필요’에 의해서 유치한 게 아니라는 것이 그의 주장입니다. 이번에 투자받은 금액의 절반 정도를 직원에게 금전적 보상으로 제공하는 것만 봐도 Unity가 궁한 상황은 절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지금도 Unity의 창업자 David Helgason과 Joachim Ante이 지분을 가장 많이 들고 있고, 창업 멤버들과 직원들이 회사의 지배 주주로 남아있습니다. Unity 창업자들, 왼쪽부터 Joachim Ante, Nicholas Francis..
얼마 전 실리콘 벨리의 스타트업 OSVehicle은 전 세계 최초로 모듈형 자율주행차의 컨셉을 적용한 EDIT이라는 모델을 발표하였습니다. 이미 저희 에티에서 여러 차례 소개한 것처럼 자율주행 기술은 구글, 테슬라와 같은 신생업체들과 벤츠, 아우디와 같은 전통적인 자동차 업체 모두 현재 자신들만의 방식으로 테스트를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런데 OSVehicle은 작은 회사들도 보다 쉽게 자동차 관련 사업에 진출하여 세상에 더 많은 가치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모듈형 자율주행차의 개념을 공개한 것입니다. 통상 자동차 하나를 개발하고 생산하는 데에는 수많은 자본과 기술력이 필요하지만, 모듈형이라면 다른 회사들이 개발한 모듈을 보다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작은 회사들의 자동차 산업 진출 문턱을 낮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여러 가지 아이템 중 가장 부각되고 있는 아이템이 바로 자율 주행 자동차입니다. 이미 구글과 테슬라, 그리고 우버 등 여러 대기업에서 자율주행 시장을 선도하고 있고, 심지어 캘리포니아 및 네바다에서 자율주행 허가 라이선스를 받아 다년 간 시험주행을 성공적으로 진행 중에 있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자율주행 자동차의 현주소와 미래 동향은 어떻게 될까요? 여러 내로라하는 대기업들에 비하여 우리나라의 자율주행 개발 척도는 어디까지 진행되었는지, 우리나라의 대표 기업인 현대자동차에서는 현재 어떤 방향으로 자율주행 개발 방향을 정하였는지, 그리고 정부에서는 하루가 멀다 하고 개발되는 자율주행 기술들에 어떻게 대비할 지 등의 우리나라 자율주행 근황에 대해서는 정작 무관심할 때가..
HCI(Human-Computer Interaction,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CHI)의 최대 학회라 할 수 있는 CHI2017(ACM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이 5월 6일부터 11일까지 콜로라도의 덴버에서 진행되었습니다. HCI는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쉽고 편하게 컴퓨터 시스템과 상호작용 할 수 있는가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시스템을 디자인할 뿐 아니라 평가하고, 이러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특성에 대해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좁게 보면 웹 인터페이스에 국한되지만, 새로운 기술에 따라 새로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개발하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CHI2017학회에서 베스트 논문상을 받은 24개 논문을 비..
- Total
- Today
- Yesterday
- AI
- 구글
- amazon
- 테슬라
- 증강현실
- IoT
- bt
- snapchat
- 로봇
- 사물인터넷
- 실리콘밸리
- 인공지능
- SpaceX
- AR
- 투자
- 아마존
- 가상현실
- 페이스북
- 중국
- 스타트업
- 블록체인
- VR
- 자율주행
- 트위터
- 드론
- 웨어러블
- 자동차
- 알리바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