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영화관에서 3D 입체 영화를 볼 때 가장 불편한 점은 입체안경을 써야하는 것입니다. 썬글라스처럼 생긴 안경을 2시간 내내 쓰고 있어야 하고, 평소 안경을 쓰는 사람이라면 원래 안경 위에 입체안경을 또 써야해서 더욱 불편합니다. MIT CSAIL (Computers Sci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Lab)에서는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와 합작으로 입체안경없이 3D 입체 영상을 볼 수 있는 스크린을 개발했습니다.
기존에도 입체안경 없이 3D 영상을 볼 수 있는 기술이 있었지만 이 기술들은 영화관에 적용하기 어렵습니다. 대표적인 사례가 닌텐도 3DS인데, 한 사람이 특정한 방향에서 볼 때만 입체 영상을 볼 수 있어 여러 명이 시청하는 영화관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CSAIL에서는 렌즈와 거울을 복잡하게 배열하여 입체 디스플레이 Cinema 3D를 만들었습니다. Cinema 3D는 렌즈와 거울의 배열을 통해 블라인드 커텐과 같이 여러 개의 장벽(parallax barrier)을 만들어 각 관람객의 시선에 맞춘 입체영상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집이나 다른 장소에서와는 달리 영화관에서는 관람객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서, 이런 장벽을 각각의 관람객의 위치에 맞춰 여러 개를 만든 후 이를 중첩시켰습니다.
이렇게 여러 명에게 입체영상을 보여주는 기술을 다른 방식으로 구현하려는 시도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직접 렌즈와 거울을 사용하지 않고 해상도를 쪼개어 각 관람객 별로 다른 영상을 보여주기 때문에, 개별 해상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Cinema 3D의 경우에는 해상도 손실없이 여러명에게 입체영상을 보여 줄 수 있습니다.
Cinema 3D의 이번 시제품의 경우 거울과 렌즈 50세트를 이용해 공책 정도 크기의 스크린을 만들었습니다. 상용화를 하려면 비용을 더 줄이고, 스크린의 크기를 더 키울 필요가 있어서 아직 상용화까지는 좀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Cinema 3D의 기술이 상용화가 되면, 입체안경없이 3D 입체 영상을 볼 수 있는 텔레비전도 같이 상용화가 될 것 같습니다. 영화에서만 나오는 3D 홀로그램 스크린의 개발이 멀지 않은 것 같습니다.
참고기사
MIT made a movie screen that brings 3D to all seats - without the glasses
New movie screen allows for glasses-free 3-D at a larger scale
에티의 페이스북 페이지에서 에티의 다른 소식도 받아보세요.
- Total
- Today
- Yesterday
- AI
- snapchat
- 로봇
- 실리콘밸리
- AR
- IoT
- 사물인터넷
- 블록체인
- 알리바바
- 증강현실
- 아마존
- 드론
- 트위터
- 중국
- 인공지능
- 구글
- VR
- 자동차
- bt
- SpaceX
- 테슬라
- 자율주행
- 투자
- 웨어러블
- 페이스북
- amazon
- 스타트업
- 가상현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